전북-칭다오 구상의 당위성
전북-칭다오 구상의 당위성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5.11.10 2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중 식품클러스터 연계 시대 열자 <상>

 국내 최대 경제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0일 전북-칭다오를 연계하는 한·중 식품클러스터를 연계 추진하자는 파격적인 제안은 식품산업 활성화의 당위성 측면에서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10년간 세계 경제성장률을 밑돌며 저성장 기조에 진입한 국내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로 한·중 식품클러스터 육성이 제시됐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 전북-칭다오 연계 안, 왜 나왔나?: 식품산업은 세계시장의 성장성과 높은 부가가치 창출, 전방위적 효과 등을 고려할 때 한국의 저성장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손꼽힌다. 세계 식품시장은 작년을 기준으로 할 때 연간 5조3천억 달러에 육박하고, 매년 4%씩 성장하고 있다. 전경련은 이와 관련, 1조7천억 달러의 세계 자동차 시장이나 1조 달러의 철강시장, 2조9천억 달러의 IT 시장보다 더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식품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여러 측면에서 시장 상황은 어려운 현실이다. 국내 상장 식품회사의 총 매출액이 네슬레 한 기업 매출의 64% 수준에 불과한 데다, 포브스의 글로벌 2천대 기업에 국내 식품회사로선 단 1개만 포함돼 있을 정도다. 이런 현실에서 지리적으로 가깝고 한국 식품에 호의를 갖고 있는 중국과 동남아 등에서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 국내 식품업계의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전경련의 주장이다.

■ 벤치마킹 외레순, 어떤 곳인가?: 전경련이 중국-칭다오 식품클러스터 연계 정책제안을 한 벤치마킹 대상은 식품 산업의 실리콘밸리라 할 수 있는 외레순(Oresund) 식품클러스터’다. 이곳은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형적·경제적 환경에 의해 두 국가가 식품산업을 중심으로 긴밀하게 협력을 이루는 지역이다. 80년대 후반 경제 위기에 직면한 덴마크와 스웨덴은 이의 극복을 위해 외레순 지역을 식품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했다. 덕분에 지금은 대학과 연구기관, 글로벌 기업들이 모여 25만 명의 고용인력을 창출하고, 이들 기업이 연간 680억 달러의 매출을 일으키는 경제 부활의 진원지가 됐다. 외레순 대학은 인근 대학의 단순 연합이 아닌 학사 운영과 연구개발이 통합되어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 정책제안 타당성 충분하다: 전북-칭다오 식품클러스터 연계 조성은 타당성이 충분하며, 양국의 윈윈 게임으로 도움이 될 공산이 크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경련은 우선 칭다오와 우리나라의 식품산업 협력관계가 강화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칭다오 한국농수산식품 물류센터 개소, 칭다오 한중식품연구소 설립 등 한국의 칭다오에 대한 투자가 이미 이뤄져 왔고, 칭다오 역시 전북 식품클러스터를 수출거점으로 선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칭다오는 여객과 화물의 물동량이 매우 크고 정기 해운과 항로가 개설된 지역으로, 수입화물의 처리에 있어서도 상하이 등 다른 중국 항구와 비교할 때 빠른 통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는 주장이다. 전북도와 익산시는 전경련의 정책제안이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명실상부한 비상을 가져올 것이라며 환영하는 모습이다. 도와 익산시 차원에서 전경련의 구상과 관련한 향후 추진계획을 내밀하게 짜야 하는 과제도 급부상하고 있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