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 사고기법 2 (창의성의 용어)
창의 사고기법 2 (창의성의 용어)
  • 최한경
  • 승인 2015.11.05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견, 창안, 창의, 창작, 창조, 창정, 창제, 창출 등으로 공통적으로 새로움, 작품, 아이디어 등을 만들어 내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난시간에는 여러 학자들이 말하는 창의성의 정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창의성과 창조성 그리고 창의성의 요소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 창의성과 창조성

서양의 창의성 Creativ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창견, 창안, 창의, 창작, 창조, 창정, 창제, 창출 등으로 공통적으로 새로움, 작품, 아이디어 등을 만들어 내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창견(創見) : 처음으로 생각하여 낸 의견 (original view)

창안(創案) : 지금껏 없었던 것을 처음으로 생각해 냄 (original idea)

창의(創意) : 지금껏 없었던 일을 새로 생각해 냄 (original idea)

창조(創造) : 처음으로 생각해 내어서 만든 (creation)

창작(創作) : 처음으로 만들어 내는 일, 딴 것을 흉내 내지 않고 순전히 새로 만들어 냄 (origination)

창정(創定) : 처음으로 제정함

창제(創製) : 창안하여 만듬 (invention)?

창의성(創意性)은 ‘새로운 생각을 해 낼 수 있는 본래적인 성질’

창조성(創造性)은 창의성에서 좀 더 발전하여 ‘어려움을 극복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성질’이라고 한다.

◈ 창의를 의미하는 용어

1) 발산적 사고 (divergent thinking)

Guilford가 1950년 미국 심리학회 연설에서 ‘창의성’에 대한 관심을 고조하면서 사용한 단어로 “인간의 지적능력 중에서 창의성의 분명한 지침이 되는 사고의 유형이 발산적사고”라고 했으며, 이것을 측정함으로써 창의성을 측정 할 수 있다고 했다. 발산적 사고가 창의성은 아니지만 발산적사고가 ‘창의’의 지침이 된다고 하여 발산적 사고가 창의의 한 요소라고 보았다.

2) 생산적 사고 (productive thinking)

Wertheimer는 창의적 사고와 생산적 사고를 동일시하였는데, 생산적 사고는 정통적인 이론적 사고에 르네상스 이후 경험과 실험을 강조하는 귀납의 과정이 부가 된 것으로, 문제 상황과 해결해야 할 문제 사이를 연결시키는 사고 작용(전체와 부분적인 것을 동시에 지각하는)을 일컫는다(Getzel &Jackson, 1962). 즉, 생산적 사고는 문제 상황을 전체적으로 동시에 조사하는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문제를 전체적으로 봄으로 동시에 여러 상황이 창의적으로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3)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Gallagher (1975)는 ‘창의적 사고’란 “문제가 있거나 아이디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다양한 생각을 구상해 내는 능력이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거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고, 그 아이디어를 발달시키거나 정교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 했다.

Torrance는 ‘창의적 사고’란 “어려움과 문제를 감지하고 정보에서 틈을 찾아내고 빠진 요소나 잘못된 무엇인가를 찾아내, 이러한 결함에 대해 추측하고 가설을 세워 그 추측과 가설을 평가하고 검증하며 이것을 재수정하고 재검증하여 마지막으로 그 결과를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perkins(1987)은 ‘창의적 사고’란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으로서의 사고 과정을 의미했다.

◈창의성의 고전적 4P의 요소

창의성 정의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Rhodes에 의해 이루어졌고, 지금까지도 창의성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Rhodes(1961)는 창의성에 대한 정의를 수집해 보니 56개나 되었는데 그 중 40개는 창의성의 정의를 다룬 것이었고, 16개는 상상력의 정의에 관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것을 비교 분석하여 4가지로 구분한 것이 유명한 창의성의 고전적인 요소 ‘4P (process, product, person, press)‘이다. 즉,

첫째, 창의적인 과정 (The creative preocess),

둘째, 창의적인 산출물 (The creative product),

셋째, 창의적인 사람 (The creative person),

넷째, 창조물이 나올 수 있는 창의적인 환경이나 장소 (The creative place, press, environment)이다.

 최한경 구이초 교사



참고문헌

▷ 교육과 창의성 / 2005 / 김선 / 집문당

▷ 문정화·하종덕(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 채선희, 2003,「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 박병기(2002). 창의성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2001.

▷ 아동발달심리 이현섭 외 2000 학지사

▷ 이영덕·정원식, 『표준화 창의성 검사』, 코리안테스팅센터, 196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