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이전효과 극대화하려면
혁신도시 이전효과 극대화하려면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5.10.26 16: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혁신도시 토론회가 남긴 과제 <하>

 지난 13일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전북 혁신도시 활성화 대토론회(JIG)’ 과정에서 가장 많이 나온 얘기는 이전 효과의 극대화 문제이다. 중앙 단위의 11개 기관이 전문기관인 만큼 이들을 활용한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 등에서 적극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주문이다.

 권주화 한국예탁결제원 광주지원장은 당시 “이전기관 입장에서 보면 전북이전이 기존의 관행과 업무 처리체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따라서 피곤하고 귀찮을 수 있다”며 “이를 현명하고 빠르게 해소해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국내 연금관련 기관 간 상설 네트워크를 전북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김명성 KBS 전주방송총국 보도국장도 “금융전문가 육성을 위한 지방대 할당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전제, “향후 22개에 달하는 전북지역 내 대학과 산학협력을 확대 실시하면서 전북 인재 발탁을 늘리고 전북의 각 대학도 공단의 금융전문가를 기획 육성하기 위한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인재배출과 충원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비전창조연구소의 강혜진 연구원은 “지역 내 공공기관과 연결되는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등 지역소재 기업을 육성해 지역연고 자원을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의 발언은, 지역의 내생적 혁신역량을 키워 공공기관과 연계한 새로운 성장 엔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스페이스코웍의 이종찬 대표는 공공기관과 창업 생태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킹 플랫폼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전국적으로 창업 열풍이 불고 있지만 전북은 아직 창업 생태계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보기 어려운 만큼 창업에 필요한 관련업무를 지역의 전문기업에 의뢰해 협력 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이 대표는 또 “전북 혁신도시 활성화 협의회에 기업인과 민간 전문가 참여를 확대해 이전 효과를 극대화하는 논의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네트워크가 적용되면 이전기관이 추진하는 지역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조언이다.

 소통 시스템의 강화를 주장한 발언도 눈길을 끌었다. 전남일보 임영섭 전무이사는 “나주 혁신도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혁신도시 공공기관장협의회를 구성하고 로드맵을 마련하며, 역할분담과 공조 등을 위한 정밀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전북발전연구원의 이민수 박사(농업농촌식품연구부)도 “농생명 연구기관의 성과들이 사업화되려면 산학연 협의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산학연 소통체계를 구축하고 전문가들이 상시적인 정보교류에 나설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는 또 “농촌진흥청과 출연 연구원 연구인력을 농생명기업에 파견해 기술자문과 공동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며 “출연 연구원의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별도직렬(기업 지원)로 채용해 농생명 기업에 파견하는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할 때, 혁신도시 기관이전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선 지역의 혁신 역량을 키우고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소통 창구를 만들어 긴밀히 공조해 나가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박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