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탐구학습 8 (결과도출과 일반화)
과학 탐구학습 8 (결과도출과 일반화)
  • 최한경
  • 승인 2015.10.08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주에는 과학탐구학습요소 중에서 자료변환과 자료해석하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과학탐구요소의 마지막으로 결과도출과 일반화 그리고 모형구성하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결과(結果) : 결과란 어떤 연속적인 일이나 사건의 마지막 상태로써 원인에 의한 결말을 말하며 열매를 맺음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 도출(導出) : 도출은 어떤 일이나 상태의 판단이나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을 말한다.

◈ 일반화(一般化) : 일반화는 개별적인 것이나 특수한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되는 것 또는 그렇게 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과학 탐구학습에서의 결과 도출과 일반화하기란?

결과 도출은 실험이나 관찰 등을 실시하고 결론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무엇을 알아냈는가? 왜 이것이 일어난다고 생각하는가? 어떤 규칙성이 있는가? 결론이 자신의 원래 생각과 일치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왜 그렇지 않는가? 등을 생각하고 내용을 정리하는 것으로 학생의 적극적인 사고 활동을 도와준다.

일반화(Formulating a Generalization or Model)는 탐구활동으로부터 결과를 종합하여 일반화나 모델을 형성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일반화를 세우는 것은 결론을 내리는 것과는 다르다. 일반화는 좀 더 설명능력과 더 넓은 적용 능력을 갖는다.


◈ 과학 탐구학습에서의 모형구성하기란?

모형은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사물이나 현상의 구체적인 표상이다. 원자모형. 지구의 내무. 음파 등의 모형이 그 예이다. 모형은 상당히 강력한 도구로서, 오래도록 인상을 주는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표현이다. 모형은 그것들이 묘사하고 있는 것을 정확하게 대변하는 것이어야 함이 아주 중요하다. 처음부터 정확한 모형을 만드는 것이 잘못된 모형을 옳은 것으로 교체하는 것보다 차라리 쉽다. 먼저 설정된 모형을 새로운 것과 교체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그러므로 모형 구성의 기능을 기르기 위해서 학습자는 그들이 관찰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그들 자신 나름의 표상을 형성하도록 격려되어야 한다.

모형 구성에서 어려움의 하나는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적 관계는 종종 너무나 엄청난 값이고 그래서 적절한 크기로 축소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모형 구성 활동(예) - 학년 수준 (3~6학년)

● 주제 : 차가운 물속에서 고래는 어떻게 체온을 유지하는가?

● 목표 : 학생들은 동물이 가지고 있는 지방과 추운 물에서 생존 능력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교실에 찬 얼음물가 식용유가 들어있는 두 개의 양동이를 준비해 놓고 한 학생이 얇은 고무장갑을 끼고 찬 얼음물 속에 손을 담그고 얼마나 견디는지 다른 친구가 시간을 잰다. 이 때 손이 얼음 물 속에서 더 이상 견디지 못할 만큼 차가워지면 그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 다음 아이들은 식용유가 든 양동이에 장갑이 끼워진 손을 넣으며 이때 식용유가 완전히 장갑 전체에 발라질 때까지 충분히 넣어야 한다. 식용유가 발라진 장갑을 낀 손을 다시 얼음물 속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동료는 견디는 시간을 기록한다. 아이들은 고래가 찬 바닷물 속에서 어떻게 체온을 유지하는지에 대한 모형을 만들고 있다.



참고문헌

▷ 교육과 창의성 / 2005 / 김선 / 집문당

▷ 문정화·하종덕(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 채선희, 2003,「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 박병기(2002). 창의성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2001.

▷ 아동발달심리 이현섭 외 2000 학지사

▷ 이영덕·정원식, 『표준화 창의성 검사』, 코리안테스팅센터, 1969.



최한경 구이초 교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