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의 세계화, 영어명부터 바로잡자] 4. 한정식과 밥
[한식의 세계화, 영어명부터 바로잡자] 4. 한정식과 밥
  • 한성천 기자
  • 승인 2014.08.26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영어명은 전회에서 지적했듯이 표준안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이상적인 영어표기 양식은 ‘발음명(원제명)’ 형태로 표기했을 때 세계인이 우리의 한식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음식명은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발음명을 우선으로 하되 원제명을 괄호처리해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본보는 현재 표준안을 ‘A’, 발음식 표기명(발음명)을 ‘B’, 본보 수정안(원제명)을 ‘C’로 각각 구분해 음식종류별로 표기해 소개한다.
 

 <음식명 표기방법> 

    A. 음식메뉴명(현재 표준안-국립국어연구원, NAVER 등)
  B. 발음명(발음식 표기명)
  C. 원제명(본보 수정안)
 

 ◆ 한정식

 1. 한정식

 A. Korean table d’hote
 B. Hanjeongsik
 C. Formal cuisine

 = 한정식을 ‘korean table d’hote’라고 번역했다. 불어에서 온 말이다. 뜻은 ‘주인의 식탁’이다. 근원은 불란서에서 나온 말로, 호텔에서 여러 날 묵을 때 특별히 주인의 식탁에서 주인이 주는 대로 먹고 고정된 가격을 지불하는데서 나온 말이다. 보통 식당에 가면 메뉴에서 골라 주문하여 먹는 것이 보통이다. 불란서나 미국이나 식당에서 table d’hote라면 싼 요리를 말한다. 따라서 우리의 한정식과는 개념이 전혀 다르다. 말하자면 table d’hote는 싸게 파는 특별요리인 셈이다. 일명 set menu(meal), price fixed menu 등으로도 불린다. 뜻으로는 한정식을 korean table d’hote라고 해도 큰 차이는 없지만 내용상으로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우리의 한정식과 서양의 table d’hote는 가격과 위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귀한 손님이 왔는데 ‘korean table d’hote’를 준다고 하면 외국인은 푸대접 받는 것이라고 연상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한정식 본래의 개념 이미지와 정서가 담겨 있는 설명적 용어로 된 영어로 표시해야 한다.
 

 2. 신선로

  A. Royal hot pot
  B. Sinseolro
  C. Royal chafing dish

 = 신선로도 ‘hot pot’이라고 칭하는 데에는 궁색한 표현이다. 왜냐하면, 신선로와 전골은 조리방식이나 형태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chafing은 불어의 chauffer ‘덮히다’(warm)에서 온 말로 17세기경부터 불란서를 비롯한 유럽에서 잘 알려진 조리기구이다. 신선로는 숯을 넣는 풍로가 딸린 냄비 또는 전골판으로 식탁 위에서 음식이 식지 않게 하는 조리다. 
 

 ◆ 밥

 1. 밥

  A. Rice
  B. Bap
  C. Cooked rice, 또는 Boiled rice

 = 그냥 rice하면 ‘생쌀’의 의미가 강하다. 동남아에는 찐 쌀밥 steamed rice도 있다. 따라서 Cooked, 또는 Boiled란 단어를 rice 앞에 붙여주는 게 적합하다.
 

 2. 보리밥

  A. Barley rice
  B. Boribap
  C. Boiled barley with rice

 = 보리밥은 일반적으로 쌀과 혼합하므로 rice와 같이 표시하는 게 적절하다. 꽁보리밥이면 boiled, 또는 cooked barley이다.
 

 3. 오곡밥

  A. Five-grain rice
  B. Ogokbap
  C. Cooked rice mixed with four other cereals

 = 현재 표준안은 오곡을 직역하고 오곡밥을 직역한 것이다. 분명히 쌀과 다른 4가지 곡류로 지은 밥이라는 뜻이 되어야 한다.
 

 4. 잡곡밥

  A. Multi-grain rice
  B. Japgokbap
  C. Cooked rice with mixed cereals

 = grain이 multi일 수 없다. 쌀밥에 여러 곡류가 혼합된 것이라 mix를 써야 잡곡밥이 되고, 음식에서는 grain이 아니고 cereals이다.
 

 5. 콩나물밥

  A. Bean sprout with rice
  B. Kongnamulbap
  C. Cooked rice with bean sprouts

 = 콩나물에 밥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밥 속에 콩나물이 들어간 것이다.
 

 6. 곤드레밥

  A. Seasoned Thistle with Rice
  B. Gondeurenamulbap
  C. Boiled rice with seasoned thistle

 = 밥에 곤드레나물이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밥을 쓰고 곤드레나물을 써야 한다.
 

 7. 김밥

  A. Gimbap
  B. Gimbap
  C. Rolled rice with laver

 = 밥을 김으로 말았기 때문에 ‘roll’을 써야 한다.
 

 8. 누룽지

  A. Scorched rice
  B. Nurungji
  C. Crust of scorched cripsy rice

 = crust가 들어가고 cripsy가 들어가야 우리 누룽지가 상상된다.
 

 한성천 기자

 <도움말=이부웅 전북대 명예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