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영화관 대기업 돈벌이 수단 전락하나
작은 영화관 대기업 돈벌이 수단 전락하나
  • 최고은 기자
  • 승인 2014.04.17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복지 해소를 위해 추진 중인 작은 영화관이 대형배급사들의 배급료 인상 요구로 당초 취지를 무색게 하고 있다.

배급사들은 저렴한 관람료를 이유로 일반 영화관보다 비싸게 배급료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자칫 작은 영화관이 대기업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현재 김제, 임실, 완주 등 8개소의 작은 영화관이 운영 중이다.

작은 영화관은 문화격차를 해소한다는 취지로 영화관이 없는 시골지역에 설치, 도민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돼 전국에 확산 추진 중이다.

하지만 도심지역 일반극장과 비교해 오히려 불리한 배급률을 적용받으면서 안정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받고 있다.

영화배급사들은 일반극장의 경우 서울 및 수도권은 6:4, 지방은 5:5의 배급률을 내고 있는데 작은 영화관은 7:3으로 영화사의 배급료 비율이 훨씬 높다.

작은영화관의 관람료가 5천 원인 점을 고려하면 절반이 넘는 최대 3천500원 정도가 배급사들에 지급되는 셈이다.

지난해 장수 한누리 시네마의 경우 입장료 수입 2억2천700만원 중 무려 1억3천900만원이 배급료로 지급됐다.

배급사들은 작은영화관의 관람료가 일반 극장과 비교해 저렴하다보니 도시지역 일반 극장의 배급료 비율과 맞추려면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배급료 인상도 모자라 작은영화관 관람료 중 일부가 영화발전기금으로 지급되는 것을 감안하면 작은영화관의 운영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다.

도는 문화격차해소 차원에서 운영하는 작은영화관의 경우 일반영화관 보다 비싼 영화배급료 요구는 적자운영을 가져올 것이라고 간주, 정부에 적극적 중재를 건의하고 있다.

도는 영화배급료를 일반영화관과 동일한 비율을 적용해 작은영화관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문체부의 중재를 건의할 계획이다.

최고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