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바로잡아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바로잡아야
  • 조금숙
  • 승인 2014.04.08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금까지 매년 4월 13일을 정부가 주도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이 열리고 있습니다. 약칭으로 ‘임정수립기념’일로 부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은 그 뿌리와 법통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두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날을 국가 기념일로 정해 놓았습니다. 그리고 대통령이나 국무총리가 참석하여 매년 기념식을 시행해 왔던 것 입니다. 그러나? 4월13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는 관계가 없는 날입니다.

 정부에서 ‘임시정부 수립기념’일 행사를 거행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부터였습니다. 그 이전에는 정부차원에서 기념행사를 하지않고 있었습니다. 1987년 헌법을 개정하면서“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라고 하고,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음을 명실공히 헌법 제 1조에 명시해 놓은 것입니다.

 이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날을 국가 기념일로 정하고 정부가 주도하여 행사를 거행하기 시작하였고 이때 4월 13일을 임정수립기념일로 정한 것입니다. 그 경로는 어떤 과정과 협의를 누가 했는지 아직도 밝혀진 바는 명확히 없습니다. 다만 그 당시까지는 학계에서는 임시정부가 4월 13일에 수립된 것으로 잘못 알려졌었습니다. 그 근거로 1932년 상해총영사관 경찰부에서 펴낸 ‘조선 민족 운동 연감’이란 책자였다고 추종 됩니다.

 1919년 4월 10일 밤 10시에 29명의 지도부 대표가 모였고 이들은 먼저 임시의정원을 구성 하였습니다 곧바로 제1회 회의에 들어가 여기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결정하고 정부의 관제 국무원 선출 헌법제정 등의 절차를 거쳐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한 임시 정부를 수립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회의를 마친 것은 다음날 4월 11일 오전 10시였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석연치 않은 것은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하는 절차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럴만한 사정은 있었을 것입니다. 국무총리와 내무총장으로 선출된 이승만과 안창호는 미국에 가고 나머지 총장들은 연해주 와 북경 등지에 서 활동하였고 유일하게 총장으로 상해에 남아있던 인물은 당시 법무총장 이시영 뿐이었습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 할 때는 7월 17일에 제헌한 법을 공포하였고 8월 15일에는 정부수립을 선포 하였습니다. 이문제가 연상된 때문인지 일제의 경찰 측 이 작성한 4월 13일 자 내용을 마치 임정수립을 선포한 것으로 해석한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임정수립 선포를 말한 것이 아니라 김규식에 대한 신임장 발송을 말 하는 것 이었습니다. 김규식은 임정이 수립되기 전에 신한 청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되었고 임정이 수립되면서 이미 파견된 김규식을 외무총장으로 선임하고 그에게 정권대사 의 신임장을 발송 한 날짜인 것입니다. 독립운동과 관련된 내용 연표로 정리한 1919.4.13일자에 ‘김규식 외무 총장겸 정권대사 신임장 발송’이 기록이 바로 4월 13일이었습니다

 또한, 이 대목에서 임정수립 기념일을 정할 당시 분명히 소홀 했던 점이 있을법합니다.

 최소한 당사자인 임시정부에서도 수립기념일 행사를 거행하고 있었는지? 거행했다면 그 날짜는 언제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도 그것은 소홀히 하고 일제의 자료만 의지했고 임시정부의 자료를 조사하고 검토하는 작업이 상당히 미흡했음을 시인하고 있습니다.

 임시정부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동안 수립기념 행사를 거행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 근거로는 임시정부에서 생산된 자료에는 물론이고 중국신문들의 보도를 통해서 도전해 지고 있습니다. 그 날짜가 바로 4월 11일이었습니다.

 임시정부에서 4월 11일에 기념식을 거행한 자료는 많이 있습니다. 1938년 4월30일자 발행된 ‘韓民’ 제18호에 들어 있는 내용입니다. ‘한민’은 백범 김구가 이사장을 맡고 있던 한국 국민당에서 발행한 기관지 었는데요. 당시 임시정부는 호남성 장시에 머물고 있었고 4월11일에 성립 기념식을 거행하였다는 초청장이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당시 ‘한민’ 이란 잡지는 이를 축하하는 특집호까지 발행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승리와 영광으로 빛나는 역사를 되새겨보는 일 못지않게 수치스럽고 열패감을 야기하는 ‘치욕스러운 역사’도 결연한 마음으로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치욕의역사가 될 수밖에 없었던 원인도 찾아내서 거짓없이 후세에 널리 알려야 합니다.

 그것은 곧 실패를 돌아볼 참회의 시간을 갖고 공과를 따져볼 성찰의 기회를 얻음으로써 다시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고자 입니다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된 기념일을 바로잡고 시행하는 것은 국가에서 내린 물질적 보상보다 더 상위의 가치를 지닌, 더 고귀하고 정신적인 명예가 더욱 소중하기에 국민의 의식과 ‘기억’그리고 올바른 기념행사가 되는 것입니다.

 기억과 기념이야말로 국민적 덕성을 배양시키고 나라사랑정신을 키우는데 소중하고도 강력한 수단입니다.

 각종 기념일에 행사를 치르고 추모 하는 것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이어받고자 하는 정신적 가치 지향입니다. 우리에게는 기억과 기념의 대상이 될만한 소재들이 무궁무진합니다.

 지난 우리의 역사는 칠전팔기의 역사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역전의 역사이고 특히 절망과 실패를 희망과 번영으로 바꾼 桑田碧海(상전벽해)의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빼앗긴 나라를 찾고자 헌신하고 목숨을 바친 지도자들과 호국의 용사들, 또한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과 공헌을 한 분들이야말로 대한민국에 나라 사랑의 진정한 가치를 보여준 공동체 기억의 대상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기념일부터 바로 잡아 4월 13일이 아닌 4월 11일로 기념하자는 것입니다. 이 점에서 대한민국의 정부수립과 존재 그 자체를 당연시하거나 심지어는 잘못된 것으로 치부하는 시각마저 있는 것도 유감입니다. 광복절과 건국절의 논란 그 자체가 편향적 역사 인식입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 커다란 폭우를 몰고 온 작은 ‘나비의 날갯짓’ 처럼 단순한 정부수립 차원을 넘어 민족의 자유 생존과 번영을 가능케 한 탁월한 민족사적 성취라고 봐야 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은 이러한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고 3.1 운동과 상해임시정부수립을 통해 독립된 자주국가 건설을 열망해 온 독립운동가들과 애국지사, 국민들이 이룩해 낸 공동 의지의 결정체였습니다.

 조금숙<광복회 전북지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